반응형
물가 상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금통위가 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의 가장 큰 이유로 대두가 되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은 걷잡을 수 없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는 수요 측면이 아닌 공급측면때문에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소비자 물가 지수가 4.1%로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는데요.
우선, 국내 물가 상승 요인으로는 구제역, 조류 독감, 이상 한파, 원자재 가격 상승, 이집트 사태로 인한 유가 상승 등이 원인이 있겠는데요 이는 체계적 위험으로 막을 수 없는 것 입니다.
하지만 너무나도 많은 국민들이 고통을 받기에, 정부에서 가만히 있지는 않겠죠?
대통령까지 나서가면서 휘발유값이 너무 높다고 하면서 정유업체에 직격탄을 날렸었죠. 이에 시장반응은 바로 주가 하락으로 연결되었었습니다. 여담으로, 장사를 하셨던 대통령분께서 이렇게 직접적으로 시장에 개입하고 나서다니 신기한 일 입니다.
아무쪼록, 구제역과 조류 독감의 여파로 소, 돼지, 닭, 오리 등 모든 고기값이 오르고, 이상 한파로 인해 모든 채소값 급등 등 서민들이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물론 생산자 입장에서도 원자재와 원유 값이 오르니깐 엄청나게 힘들겁니다. 생산자 물가지수가 나와보면 알겠지만 이도 전월 대비 급등할 경우가 높습니다.
그럼 물가를 잡기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부에서는 고기, 채소값 폭등을 억제하기 위해 무관세로 수입을 하고 있고, 시장에 직접 개입을 하는 등 여러 방면을 추구하고 있지만 쉽지 않아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정부에서 그나마 할 수 있는 대응책이 금리 인상으로 보이는데, 이 또한 다음 달로 미뤄졌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은 쉽게 거쳐지지 않을 듯 합니다.
중국이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 재할인율 상승, 기준금리 인상을 여러 차례 하는 등 적극적인 대응을 보이는 반면, 우리나라는 미지근한 대응을 보이는데 답답해 보입니다.
금리 인상을 하면, 경기가 둔화될 수 있고 핫머니 등 나라경제를 뒤흔드는 여러 경제적 요인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한은에서 3월에는 물가억제를 우선시 할지, 세계경제불확실성을 우선시 할지 주목이 됩니다.
시장 현황은
현재 채권과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자금들이 일시적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보입니다. 신흥국들의 물가상승이 요인이라는데 여기서 이탈한 자금들이 경제가 회복되는 선진국으로 몰라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1주일만에 100p이상이 빠지게 되어 시총 65조원 가량이 증발했다고 집계가 되었는데요, 아마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증시에 등을 돌린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결국 2000p를 지키지 못하고 1900선으로 무너져내린 코스피. 아마 전 고점이 지지선이 되어주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금리 인상이 되고, 이집트 사태 장기화로 이어지면 추가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 같구요. 현물 투자할 때는 옵션이랑 같이 투자하는 것도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하락장에도 항상 상승하는 종목이 있는 것 처럼 종목 발굴을 잘 하시면 저가매수나 하락장에서 수익을 보실 수 있을 듯 합니다.
제 관심종목 중에서 외국인 지분율이 계속 올라가는 종목이 있는데요, 이런 종목 잘 발굴해서 하시면 언젠간 성투하실 날이 올거라 믿습니다.
반응형
'무슨 생각...? > 금융,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하락의 파장, 예상가능한 QE3과 '금' (19) | 2011.04.05 |
---|---|
막대한 유동성 공급, 환율 전쟁 신호탄인가 (0) | 2011.03.21 |
카다피, 드디어 휴전 선언! 우리나라 시장 반등의 시작이 될까 (0) | 2011.03.18 |
일본 지진사태에 대한 우리나라 시장 반응 짚어보기 (5) | 2011.03.11 |
원유선물 투자에 대한 주의점 (5) | 2011.03.11 |
신용카드 리볼빙과 카드론, 그리고 가계부채 800조.. (2) | 2011.02.22 |
유동성 효과의 파급은? (2) | 2011.02.21 |
댓글